본문 바로가기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신청 총정리

infonews01 2024. 10. 1.

근무기간과 연령 제한 없이도 중소기업 재직자라면 누구나 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제도가 도입됩니다. 기업의 부담도 줄어들어 중소기업과 재직자 모두에게 희소식이 될 전망인데요. 10월 정식 출시 예정이니, 놓치지 말고 신청해 보세요.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신청 방법 자세히 설명드립니다.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는 중소기업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에게 제공되는 특별한 저축 상품입니다. 이 저축공제는 근로자들이 장기적으로 장기적으로 재직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도입되었는데요.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신청 총정리

 

이 상품은 근로자가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기업과 정부가 추가 혜택을 제공해서 더 높은 수익을 보장해 줍니다.

2024년 10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며, 중소벤처기업부와 IBK 기업은행, 하나은행이 협력하여 제공됩니다.

 

 

가입대상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모든 근로자는 가입할 수 있습니다. 특히, 청년 근로자에게는 추가적인 세제 혜택이 제공되기 때문에 청년들의 참여를 더욱 장려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의 근로자라면 누구나 쉽게 가입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저축기간

저축기간은 기본적으로 5년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 근로자들은 매월 정해진 금액을 저축하게 되고, 만기 시에는 저축한 금액과 이자, 기업 지원금 등을 포함한 총액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납입금액

납입금액은 매월 최소 10만 원에서 최대 50만 원까지(1만 원 단위로 선택 가능) 납입할 수 있습니다.

근로자는 자신의 재정 상태에 맞춰서 적절한 금액을 선택해서 저축할 수 있습니다.

 

만기금액

만기 시에는 저축한 금액과 이자, 기업의 지원금을 포함한 총액을 수령하게 됩니다.

 

 

✅ 납입금 대비 예상 수령액(예시)

개인 납입금 기업 지원금
(개인 납입금의 20%)
5년 만기 예상 수령액
(금리 5%, 과세)
10만원 2만원 805만원 (개인 납입금 600만원)
30만원 6만원 2,416만원 (개인 납입금 1,800만원)
50만원 10만원 4,027만원 (개인 납입금 3,000만원)

 

 

 

신청 방법

 

기업 지원금이 필요한 만큼 가입 전 노사 간 사전 협의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가입 가능여부와 월 납입금액(지원금액 한도) 등에 대한 협의가 완료되면, 주관기관인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 통보하고 협약은행(IBK기업은행, 하나은행)을 방문해서 계좌 개설을 안내받아 해당 저축상품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중기부 바로가기👆 IBK 기업은행 바로가기 👆 하나은행 바로가기 👆

 

 

 

1. 기업과 협의

기업이 먼저 가입 대상자를 선별하고, 근로자와 월 납입금액을 협의합니다.

 

2. 중진공과 협약

기업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과 기업 지원금 납부 협약을 맺습니다.

 

3. 은행 방문

중진공은 은행에 가입 대상 근로자를 통보하고, 은행이 근로자에게 안내 후 계좌를 개설합니다.

 

4. 가입자(재직자)

5년 동안 저축 → 5년 만기 시 개인 납입금 + 기업 지원금 + 이자 + 공제 수익금 수령

 

 

주요 혜택

기업 지원금

기업은 근로자가 저축한 금액의 일정 비율을 추가로 지원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근로자가 매월 50만 원을 저축할 경우, 기업은 그 금액의 20%인 10만 원을 추가로 지원해서 총 60만 원이 적립됩니다.

 

은행 금리 우대

협약된 은행에서 최대 5%의 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금리 3%에 우대금리 1~2%가 추가로 적용됩니다. 일반 저축상품보다 높은 금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자율은 협약된 은행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가입 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정부 세제 혜택

가입 근로자는 기업 지원금에 부과되는 소득세의 50%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청년 근로자는 이 혜택이 최대 90%로 확대되어 더욱 유리한 조건에서 저축할 수 있습니다.

 

또 기업은 법인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도해지 및 퇴사하게 된다면?

가입 중 불가피하게 퇴사를 하게 되는 경우 중도 해지가 필요하게 됩니다. 이럴 경우 그동안 근로자 본인이 납입한 저축액(원금)은 모두 돌려받을 수 있지만, 중도퇴사 시 기업 지원금은 다시 반환해야 합니다.

 

다만, 중기부에서는 이번 상품을 해지하더라도 이율을 일반적인 적금 해지 이율보다 높게 설정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적금 해지 이율 등은 금융감독원의 약관 심사가 끝나는 이후 정확한 계획이 발표될 예정입니다.

 

 

 

내일채움공제와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의 차이점

내일채움공제와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는 각각의 목적과 혜택이 다릅니다. 이 두 상품을 비교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주요 차이점

내일채움공제와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는 중소기업 근로자를 위한 재테크 상품으로, 두 제도 모두 근로자의 자산 형성을 돕고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두 제도에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 대상 범위

내일채움공제는 주로 핵심 인력을 대상으로 하지만,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는 모든 중소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 기업 부담

내일채움공제는 기업이 근로자 납입금의 2배를 부담해야 하지만,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는 20%만 부담하면 됩니다.

 

• 혜택

내일채움공제는 만기 시 큰 금액을 수령할 수 있지만,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는 금리 우대와 세제 혜택이 추가로 제공됩니다.

 

내   용 내일채움공제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가입 대상 주로 핵심 인력을 대상으로 함 모든 중소기업 재직자 가입 가능
구   조 근로자와 기업이 매월 일정 금액을 5년동안 납입함.

예) 근로자가 매달 10만원 납입 시, 기업은 20만원을 납입하여 총 30만원 적립.
근로자가 월 10만원 ~ 50만원 납입시, 기업은 근로자 납입금의 20%를 추가로 납입함.

예) 근로자가 10만원 납입시 기업은 2만원을 납입하여 총 12만원 적립.
혜   택 - 5년 만기시 근로자는 약 2천만원 이상의 금액을 수령하게 됨.

- 근로자의 기업이 납입한 금액에 더해 정부의 지원금 포함.
- 협약은행의 금리 우대(1~2%)와 소득세 감면 혜택

- 5년 만기 시 근로자는 납입 금액에 따라 최대 약 4,027만원을 수령하게 됨.
기업 부담 기업이 근로자 납입금의 2배를 부담. 기업이 근로자 납입금의 20%만 부담.

 

이 두 가지 제도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므로,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제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신청 총정리

댓글